기다란 장대 끝에 뾰족한 날을 붙인 무기. 창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바로 "리치". 근접무기들 중 압도적인 리치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전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창을 다루려면 먼저 신체능력이 좋아야 한다. 사실 이건 다른 무기를 다루는 이들과 다름이 없긴 하다만.. 이러한 날이 붙은 무기를 다루는데 있어서 신체능력이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무기를 휘두르지 않고 오래 들고 있기만 해도 근육이 지친다. 거기에 기술 역시 힘이 있어야 먹히는 법이기에 신체의 단련은 필수요소이다.
"후우..후우...!"
먼저 5km를 달린다. 단순히 달리는 것이 아니다. 호흡에 맞춰서 일정한 보폭과 리듬으로 땅에 발을 착지시키고 띄우며 달린다. 왼발이 땅에 닿으면 숨을 들이쉬고, 다시 한 번 왼발이 땅에 닿으면 숨을 내뱉는다. 창은 크기가 커다랗기에 근력 뿐만이 아닌 폐활량도 중요하다.
달리기가 끝나면 팔굽혀펴기를 해준다.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야. 정확한 자세로 최대한 천천히 근육의 자극을 느껴가며 하는 게 중요해.
팔굽혀펴기가 끝나면 턱걸이를 해준다. 창은 찌르는 무기인데 당기는 힘을 길러주는 턱걸이 왜 하냐고? 그거는 나중에 가보면 안다. 턱걸이가 끝나면 플랭크를 해줌으로써 코어를 강화시킨 뒤에, 레슬러 브릿지로 스트레칭을 함으로써 몸을 풀어준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창을 잡을 시간.
오늘은 기본기를 리마스터 해가는 시간이다.
먼저 창의 힘은 어디서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지?
강한 근력, 정확함, 빠른 스피드?
내 생각에는 '보법' 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왼발이 전방을 향해 앞으로, 오른발은 발꿈치가 왼발 뒤로 가도록 해서 발끝이 오른쪽을 향하도록 한다. 이것이 기본보법이다. 이런 스탠스를 유지하고 있으면 중심이 잡힌 것이 느껴질 것이다. 앞으로 전진할 때는 뒷쪽의 오른발의 힘을 시작으로 앞으로 민다는 느낌으로 앞으로 전진, 백스텝은 앞쪽의 왼발의 힘을 시작으로 뒤로 당긴다는 느낌으로 뒤로 후진. 앞뒤로만 움직일 거야? 옆으로도 움직여야지. 단순히 방향만 바꾸려는 거야? 그렇다면 왼쪽으로 방향을 틀 때는 뒷쪽을 오른발을 왼쪽 방향으로 돌리고, 그에 따라 앞의 왼쪽발도 따라서 왼쪽으로 돌리면 몸과 창도 같이 왼쪽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있다. 반대로 오른쪽으로 전환할 때는 왼발을 오른쪽으로 돌리고, 오른발도 이에 따라 돌리면 창과 몸도 오른쪽으로 전환되어 있을 것이다. 단순히 방향만 트는 것이 아니라, 전진과 방향전환을 동시에 하려면..왼쪽발을 앞으로 밀지만 본래 발끝 방향 직선으로 미는 것이 아닌, 발끝 기준으로 45° 방향으로 발을 옮긴 뒤에 발끝을 적의 방향으로 돌리고 오른발도 이에 따라오면 적의 측면을 기습할 여건이 완성되는 것이다, 반대방향도 마찬가지고.
이렇게 전진보법, 후진보법, 방향전환, 사이드스텝 등의 보법을 여러 상황을 부여해가며 섞어서 연습한다. 이때 리듬에 맞춰 중심이 무너지지 않도록 보법을 연습한다. 아까 달리기 때 단순히 뛰는 게 아닌 박자에 집중하며 뛰었던 이유, 바로 보법에서의 리듬을 살리기 위한 것이었다. 리듬이 없는 보법은 곧 발의 꼬임을 유발하며 중심을 무너뜨린다. 추가적으로 유연하고 탄련 있는 하체는 보법의 보폭을 더 넓혀주어서 내가 가용할 수 있는 거리를 더 확보시켜준다. 이것을 명심할 것.
단순히 발로 움직이는 것인데 보법이 왜 중요하냐고? 창은 리치가 기니깐 정확하게 찔러넣기만 하면 된다고? 틀렸어. 보법이 안 되어 있으면 창의 메리트를 절대로 살리지 못해. 아무리 리치가 길어도 빠르게 거리를 벌리는 적을 추적하는 보법이 안 되어 있으면 적을 못 죽여. 아무리 정확성이 있어도 뭐 해? 적이 옆으로 공격해오면 그냥 멀뚱히 서있을려고? 옆으로 틀어서 견제하거나 막아야지. 적이 앞으로 빠르게 치고 들어오면 바로 거리를 벌려서 반격하고...보법으로 적을 공격할 여건도 못 만드는데 정확도만 있다고 해서 그거를 어따가 써먹어. 보법이 되어야 창으로 적을 공격할 거리를 스스로 만들어낼 수 있는 거야.
그런데 창술의 초심자들이 겪는 '거리'문제.. 사실 창이란 게 긴 리치가 장점이긴 하다만, 이 리치에 대한 감각이 있어야 확실히 장점이 되는 것이다. 창의 리치를 너무 믿다가 허공을 찔러버려서 반격을 당하거나 너무 가까이서 공격을 해서 창의 위력을 제대로 못 내는 것이 나같은 초심자의 실수... 이러한 거리감각을 익히기 위해서는 경험을 쌓는 게 답이다..
하지만 내가 생각한 효과적인 방법이 있긴 하다. 상대의 발과 내 발의 거리를 보면 된다. 무기와 무기끼리의 거리는 허공이라 계산하기 어렵지만, 발 사이의 거리는 지면이라서 바로 쉽계 계산이 가능하다. 상대방의 무기의 리치를 본 뒤에 내 발과 상대의 발 사이의 거리를 보고 계산하면 되는 것이다...너무 간단하지만 우리 우직한 창술 초보자님들이 잘 모르고 넘어가는 팁이기도 하지..
이렇게 거리가 완성되면? 찔러야지. 물론 베고, 때리는 방법도 있지만 오늘은 창의 꽃이라 부를 수 있는 찌르기부터 하자, 응?
왼손과 오른손 모두 정수로 잡고 , 나는 오른손잡이이니 왼손을 앞으로 잡도록 하자. 그리고 창끝의 방향은 항상 적의 중앙을 응시하도록 하자. 중앙에 두는 것이 여러 방향을 타격하기에 유리하거든.
거리가 완성되면 찌른다. 뒤의 오른발을 돌리는 걸로 시작해서 허리를 돌려 체중을 싣고 이는 곧 광배-팔-창으로 힘이 전해져서 대상을 찌른다. 아까 미는 힘을 키워주는 운동인 팔굽혀펴기를 이래서 한 거다. 찌를 때는 미는 힘이 중요하거든. 대상을 찌를 때는 창끝이 정확히 어디로 가는지 끝까지 봐라. 이를 눈에 뗄 경우 집중력이 흐려져서 창끝이 다른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다.
자...찌르면 끝일 줄 알았지? 찌르기가 꽃이지만 찌르기보다 더 중요한 게 남아 있다. 바로 찌르고나서 창을 회수해서 원래의 기본동작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게 중요한 이유? 창으로 만약에 적을 정확히 못 찌르면 이게 곧 적에게 반격할 틈을 주는 거니깐.. 그렇기 때문에 빨리 원래의 동작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창끝을 보아서 창끝이 적을 맞추든 못 맞추든 어서 창을 당겨서 기본 스탠스로 돌아와야 된다는 거다. 아까 이래서 당기는 운동인 턱걸이를 한 것이다. 회수할 때는 당기는 힘이 중요하거든. 그리고 빨리 회수를 해야 되니깐 동작이 무너질 때가 있다. 그래서 아까 코어운동인 플랭크를 한 것이다. 중심축인 코어가 단단해야 동작이 무너지지 않거든. 여기에 추가로 공격을 할 때 단순히 "빠르게 찌른다"가 아닌 "찌르고 빠르게 회수한다"라고 생각하고 공격하면 동작이 한층 더 부드러워지고 빨라진다.
그렇다면 이 모든 것을 한 번에 이어보자. 리듬감 있고 안정적인 보법으로 적과의 거리를 확보한 후..정확도 있는 찌르기..분명 세세하게 설명할 때는 하루종일이었지만 막상 자연스럽게 한 동작으로 이으니, 되게 간단하다. 역설적으로 말하면 이런 간단해보이는 기본기에도 신경써야 될 것이 많다는 것이기도 하다..
아까 왜 레슬러 브릿지를 했냐고? 몸이 유연해야 저 동작들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거든. 분명 반복되는 연습도 필요하지만..굳은 몸보다는 유연하게 풀려 있는 몸이 더 빠르게 동작을 자연스럽게 이어나갈 수 있는 건 부정할 수가 없어.
이렇게 기본기 연습을 반복하고, 오늘은 이 정도만 하도록 하자. 열정이 과하면 몸이 못 따라오거든~
농기구라면 얼마든지 잘 다루는데 검은 그것과 다르다. 사람을 헤칠 수는 있어도 농기구는 일단 농사를 위한 도구니까 그에비해 내가 배운 검은 무언가를 헤치기 위해 만들어진 도구다. 한손에는 방패를 한손에는 검을 쥐고 검을 천천히 위에서 내린다. 방금의 궤적으로 휘둘렀을때 인간이라면 어디를 베었을지 생각해보자 그리고 다시 한번 방금 그 궤적으로 휘둘러보려고 했지만, 완벽하게 같은 궤적이 아니다. 어느 곳을 휘둘러야 어디가 베이는지는 머리 속으로 상상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상이 가능한 곳에 언제나 같은 궤적으로 검을 휘둘러야만 내가 원하는 결과를 기댈 수 있겠지. 우선은 검으로 같은 궤적을 그릴 수 있을때까지 최대한 천천히 검을 휘두르자 우선 위에서 아래로 그다음에는 대각선으로 그 다음에는 수평으로 찌르기는 그 다음이다.
고아원을 떠나오고 나서의 첫날입니다. 모험가가 되기로 결심한 이상, 스스로의 힘으로 자립해야겠지요. 타티아나가 허리에서 레이피어를 뽑아듭니다. 사용감이 느껴지는, 다소 낡은 무기입니다. 그렇지만 단단하고 가벼우며 날도 잘 서있습니다. 레이피어의 기본은 찌르기입니다. 베기도 가능하지만 그건 조금 숙달된 다음 연습해도 늦지 않습니다. 사제님께서도 찌르기를 먼저 가르쳐주셨으니까요. 재빠르게 자세를 잡아봅니다. 아직 어설프지만 폼은 나네요. 하나, 둘, 하나, 둘, 속으로 셈을 하며 천천히 팔을 내지릅니다. 찌르기는 적의 빈틈을 노려야 한다고 사제님이 말씀하셨었죠. 타티아나는 곧바로 눈 앞에 상상의 적을 그려봅니다. 키와 덩치가 큰 인간형 마물입니다. 마물이 주먹을 우악스레 휘두릅니다. 동작이 크기에 허점은 쉽게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형체 없는 공격을 피한 뒤 적의 빈틈을 찌르고 재빨리 뒤로 두어 발짝 물러납니다. 그녀는 그렇게 쓰러지지 않는 적과, 수십 분을 대련했습니다.
체력, 체력, 체력! 검술 이전에 체력이다! 은폐와 엄폐를 장시간 유지하는 능력. 신속한 기동으로 싸움의 주도권을 갖는 것 모두 체력에서 나온다. 멈추면 안 된다. 멈추면 죽는다. 지쳐서 먼저 멈추는 쪽이 죽는다.
"흐읍..!"
근육이 죄어지고 호흡이 멈춘다. 파칵! 한손검의 칼날이 빛난다. 표적용 나무막대기가 잘려나갔다. 일격일살, 일격필살! 폭풍처럼 휘두르는 다크 엘프의 공격. 그것은 네가 나에게 상처입힐 기회조차 만들지 않겠다는 절박함의 증거다. 이 말뚝은 죽었다. 다른 말뚝들이 알아챘다. 물러설까? 하나 더 잡을까? 어느 경로가 가장 빠르게 죽이는 경로지? 어느 경로가 말뚝들의 사각이지? 빠르게 생각해, 빠르게 움직여.
'한놈 더!'
혼자 떨어진 말뚝이 있다. 거리상 다른 말뚝과 뭉치기까지 몇 초의 시간이 있어. 돌격한다. 정면으로 뛰어들다가, 슬라이딩! 발목을 그어버리고 넘어지는 놈의 뒷목을 내리친다. 이젠 정말 시간이 없다. 후퇴해서 사각으로 빠진다. 계속해서 움직인다, 계속해서 생각한다.
'둘 잡았고 얼마나 남았지?'
장기전은 위험하다. 여러 개의 단기전으로 쪼개서 싸운다. 17대 1은 위험하다. 그럼 1대 1로 17번 싸운다. 그를 위해서 전장을 넓게 사용해야 한다. 유리하면 순식간에 내 공격 범위 안에 적을 당겨넣고, 불리하면 일순간 적의 시야 밖으로 벗어나 싸움을 피한다. 넓은 전장. 넓은 공간. 필요한 것은 역시 체력. 나무 위로 기어올라 잎사귀 속에 몸을 숨긴다. 무게 중심을 낮추고 굵은 나뭇가지 위를 걷듯 뛰어다닌다. 허벅지 근육이 팽팽히 당겨온다.
'배후로 크게 돌아. 내가 아직도 앞에 있을거라고 생각할만큼 빨리.'
10초 쯤 되었나. 아까와는 완전히 반대 방향에서. 나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진다. 말뚝 하나가 더 쪼개진다.
검은 피부 위로 흐르는 땀이 바람을 맞아 서늘하다. 몸에서 증기가 올라온다. 하지만 멈추지 않는다. 멈추면 죽는다. 압도적인 기동으로 전장을 지배한다.
저는 이단과 마족 뿐만 아니라 마물과도 평화롭게 지내는 것을 생각하고 있어요.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는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기적 스킬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마물과의 대화 그런 작은 기적이라도 괜찮으니까 말이죠. 우선 어떤 기적들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저는 기적 스킬에 대한 책을 읽어보기로 했어요.
그리고 또 다른 수련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다 저는 기도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어요. 기적은 '우연의 정점'을 의미하고 보통 이런 일은 불가능하다 여겨지기 때문에 신이 복을 내렸다고 여겨지는 듯해요. 그러니까 신에 대한 믿음의 의미인 기도와 기적은 관련이 없지 않다고 할 수 있겠죠. 경건한 신도로서 기도는 여러 번 하는 게 좋기도 하고요!
창에는 찌르기만 중요하나? 찌르기가 꽃이긴 하나, 찌르기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찌르기 외에 '베기'도 있다는 것 다들 알 것이다. 하지만 내가 쓰는 일반적인 장창의 구조상으로 보면 베기는 위력적이진 않다. 하지만 '유용'하다.
어떤 점에서 유용하냐고? '절단'이 아닌 '견제'에서 유용하다는 것이다. 상대방이 무기를 들고 공격을 해오면 리치를 믿고 찌르기로 바로 반격을 하기에는 위험하다. 움직이는 적을 정확히 찌르는 건 숙련이 꽤나 필요하거든. 그렇기에 '베기'로 반격의 셋업을 하는 것이다.
상대가 공격을 시도하면 차분하게 창의 리치를 이용해서 상대의 손목이나 무기를 향해 살짝 창날로 타격을 해주면 된다. 굳이 거창하게 벨 필요가 없다. 창을 정수로 잡고 있는 손 중, 앞손인 왼손을 옆으로 살짝 당기거나 밀면 된다. 검과 다르게 넓은 궤적을 벨 필요가 없는 거야. 왜? 절단이 아니고 견제가 목적이니깐 말이야.
그저 상대의 손목이나 무기를 창으로 '톡' 건드려줘서 방향을 틀어버리는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상대는 이미 공격을 한다고 물리적으로 힘을 한 방향으로 움직였으니, 난 거기에 간단한 터치만 하면 되는 것이다. 참으로 간단하지 않나? 왼손으로만 창을 움직이는 것만으로 유용한 방어가 된다..
그렇게 베기로 인해 상대의 공격이 의도한 궤도에서 벗어나면 바로 찌르기로 연계하는 것이다. 왼손을 이용해 공격을 견제해서 상대의 빈틈이 보이면, 바로 >>1의 찌르기로 연계를 하면 되는 것이다. 이것도 부드럽게가 연계가 될 수 있도록 계속 연습해두자.
추가적으로 창으로 '절단'이 불가능하단 것은 아니다. 지금 바로 보여주도록 하지.
>>1에서 선보인 왼쪽 방향의 사이드 스텝 있지? 이 사이드 스텝을 처음에 매우 큰 보폭으로 왼발을 옮겨, 이때 마치 '런지' 자세가 될 수 있도록 무릎을 굽혀준다. 그렇다면 자세는 낮춰졌을 것이고.. 바로 하단을 방금 전의 견제용 베기보다 조금 더 넓은 궤적으로 벤다. 하단 어디를?? '아킬레스건'을.
아킬레스건을 공격하고 빠르게 본 자세로 돌아와 그대로 >>1의 찌르기로 연계한다. 왜냐고? 첫 번째는 상대방의 아킬레스건을 베는데 성공했을 때의 마무리 공격이 목적. 두 번째는 상대방이 아킬레스건을 막거나 피했을 때 상대방이 자신의 아킬레스건에 신경이 쏠린 것을 노려서 찌르기로 다른 급소를 노리려는 목적이지.
그런데 왜 굳이 사이드로 전환해서 베냐고? 상대방의 바로 앞에서 숙여버리면 상대방이 반격하기 매우 용이해. 그리고 막상 앞에서 베려고 하잖아? 아킬레스건이 아니고 베기 어려운 복숭아뼈나 정강이뼈를 공격하게 되어 있어. 그래서 사이드로 옮기려는 거야. 사이드로 옮기면 베기 쉬운 아킬레스건이나 종아리 근육이 내 기준 바로 전방에 있는 거잖아.
천천히 휘두르면 아직 흔들흔들 거린다. 내가 원하는 궤적으로 휘두르는게 이렇게 힘들다니 같은 것만 계속하니 지루해져서 강하고 빠르게 휘두른다. 그리고 다시 한번 휘두른다. 같은 장소에 도달했지만 중간에 검이 휘둘리고 살짝 빗겨나갔다. 같은 궤적을 같은 힘으로 휘둘러야 남은 힘분배를 정확하게 할 수 있겠지 결국 싸움이란 자기가 가진 수를 이용해서 하는거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