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마금을 모티브로 하고있지만 잘 모르셔도 상관없습니다. ※상황극판의 기본 규칙과 매너를 따릅니다. ※서로를 존중하고, 먼저 배려하는 마음가짐을 가집시다. 모니터 너머의 이용자도 당신처럼 '즐겁고 싶기에' 상황극판을 찾았다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오고 가는 이에게 인사를 하는 자세를 가집시다. ※상대를 지적할때에는 너무 날카롭게 이야기하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아' 다르고 '어' 다릅니다. ※15세 이용가이며 그 이상의 높은 수위나 드립은 일체 금지합니다. ※특별한 공지가 없다면 스토리는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7시 30분~8시쯤부터 진행합니다. 이벤트나 스토리가 없거나 미뤄지는 경우는 그 전에 공지를 드리겠습니다. ※이벤트 도중 반응레스가 필요한 경우 >>0 을 달고 레스를 달아주세요. ※계수를 깎을 수 있는 훈련레스는 1일 1회로, 개인이 정산해서 뱅크에 반영하도록 합니다. 훈련레스는 >>0을 달고 적어주세요! 소수점은 버립니다. ※7일 연속으로 갱신이 없을 경우 동결, 14일 연속으로 갱신이 없을경우 해당시트 하차됩니다. 설사 연플이나 우플 등이 있어도 예외는 아닙니다. ※기존 모카고 시리즈와는 다른 흐름으로 흘러갑니다. 따라서 기존 시리즈에서 이런 설정이 있고 이런 학교가 있었다고 해서 여기서도 똑같이 그 설정이 적용되거나 하진 않습니다. R1과도 다른 스토리로 흘러갑니다. ※개인 이벤트는 일상 5회를 했다는 가정하에 챕터2부터 개방됩니다. 개인 이벤트를 열고자 하는 이는 사전에 웹박수를 이용해서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벤트를 진행하는 이는 계수 10%, 참여하는 이에겐 5%를 제공합니다.
이 폐공장에 관련이 있는 인물과 우연히 만나거나, 공장 설비에 조예가 깊은 이를 만나지 않는 이상, 그것은 아마 밝혀내기 힘든 일이 될 것이다. 한때 사람이 소통하고 공작했던 흔적이 그대로 퇴적되어 있을 뿐, 그래도 한때는 사람이 있었노라고 알리는 흔적은 또한 역설적이게도 이 곳에 사람이 없은 지 오래되었노라고 알리는 흔적이기도 했다. 인천이 인첨공이 되기도 전에 복잡한 채무며 경제 사정이며 등등에 떠밀려 문을 닫았을, 철골 거수의 시체는 이 곳에 오랜 세월을 누워 한때 사람이 있었노라고 나직이 옛날을 새기고 있을 뿐. 그 낡은 옛 흔적의 갈빗대 한켠에, 하얀 새앙쥐 같은 소년이 별들 사이를 헤매다가 쪼르르 흘러들어와 작다랗고 보잘것없는 숨숨집을 만든 것이 얼마 전이었다.
철골 거수의 몸에서도 갈빗대 한 자락 그나마도 끄트머리에 위치해, 한때 공장 노동자들을 위한 기숙사였을 공간을 다시 정돈하여 그 조그마한 몸이 남부럽잖게 의식주를 의탁할 공간을 다 마련하는 것은 진작에 끝났으나, 그것은 그야말로 백분지 일, 천분지 일에 불과한 한 끄트머리였다. 이 새앙쥐가 집처럼 잘 아는 구획도 있었으나, 그런 게 있다고만 아는 구역이 더욱 많았고, 아직 한번도 가보지 못한 구역이 더욱 많았다.
따라서 흰쥐는 자신이 머물 숨숨집을 다 꾸린 이후에는 이 폐공장을 탐사해보는 것을 한 여가 겸 과업으로 두고 있었으되, 봄의 바쁜 일이며 휴가 등으로 밀려 아직까지 나서지 못했던 것을 요 최근에서야 하루씩 반나절씩 짬을 내어 이 폐공장을 놀이터삼아 누벼볼 수 있게 되었다.
이 거대한 공장의 퇴적물 가운데서, 최근 이 흰쥐가 찾아낸 것이 이것이었다. 흰쥐가 쓰고 있는 기숙사와는 조금 동떨어진 다른 모서리의 작달막한 방 한켠의 벽에 기대어있는, 오래되고 먼지앉은 업라이트 피아노가 한 대. 무슨 연유로 여기에 있을까? 철과 플라스틱의 이야기를 다루는 엄숙한 공장 가운데 누가 이 피아노를 가져다놓았을까? 이 피아노는 누구를 위해서 여기에 있었으며, 어떤 선율을 울려냈을까?
그래서, 이 소년, 서성운은 또 취미나 여가를 위해 생긴 자유 시간을 다시 조금 더 쪼개어 이 피아노에 수놓아보기로 했다. 건반의 먼지를 닦아내고, 외장의 먼지를 털어내고, 마치 동영상에서 나온 레시피대로 요리를 해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영상에서 나온 연습법대로 건반을 눌러보는 버릇을 들인 것이다.
오늘의 연주는 캐논이었다. 누군가 보내준 노래를 따라 악보 한 장 없이, 그저 귀동냥으로, 소리만 듣고 그 소리에 기대어서 건반을 누르는─ 심지어 그 곡이 요한 파헬벨의 “캐논 라장조” 라는 것조차도 모르는 채로 진행되는 연주.
악보는 필요없다. 얼굴이 보이지 않아도 상관없다. 눈을 감으면 새하얀 달이 뜬다. 상냥한 손길이 손끝을 잡아끄는 것 같다. 어설픈 온기보다 메마른 한기가 더 편안했다. 깊은 바닷물 같은 머리카락과 파란 눈길을 따라 손을 뻗으면 그곳에 건반이 있다. 잊을 수 없는, 잊고 싶지도 않은 행복이 연주되고 있었다.
체르니는커녕 바이엘 교재 한 번 똑바로 감독받으며 연주해본 일 없이 유튜브로 얼기설기 배운 기초가 전부인 그것은 결코 탄탄한 연주라고는 할 수 없겠으나, 손 끝에서 흘러나오는 그 멜로디는 분명히 불협화음이 아닌 다듬어지지 않은 원석이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연주는 망가진 것들에게서부터 시작되기 마련이라고 노래하는 것만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