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사항 ※최대 12인이 제가 받을 수 있는 한계입니다. ※총 10개의 대사건이 모두 일어나면 완결됩니다. ※이 스레는 슬로우 스레로서, 매우 천천히 진행됩니다. 진행은 일주일에 한 번, 일요일. 보통 오후 2시~4시 사이에 진행되며 길면 2시간 짧으면 1시간 반 진행되니 참고 바랍니다. ※진행 때에는 #을 달고 써주시면 됩니다. 진행레스가 좀 더 눈에 잘 띄기 위해서 색깔을 입히거나, 쉐도우를 넣는다거나 하는 행위도 모두 오케이입니다. 스레주가 지나치지 않을 수 있도록 이쁘게 꾸며주세요! ※유혈 묘사 등이 있사오니 주의 바랍니다. ※이 외에 미처 기억하지 못한 주의사항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스레주도 무협 잘 모릅니다...부담가지지 말고 츄라이츄라이~ ※기본적으로 우리는 참치어장 상황극판의 규칙을 적용하며, 이에 기속됩니다.
야견은 짤막하게 그리 평한다. 일상적인 상황에서 전투로 돌입하는 집중력 역시 뛰어나다. 정파놈들이 흔히 쓰는 삼재검법이지만 그 기세는 다르다. 아마도 재능을 놓고보면 자신보다 아득히 위일 것이다. 다만 그것이 싸움의 승패를 가늠하는 요소의 전부는 아니다. 싸움이라는 것은, 투쟁이라는 것은 그리 단순한 것이 아니니.
‘공(空)으로 한 발짝’
야견은 속으로 그리 되뇌이며 자신의 머리로 날아드는 검집에 아랑곳 않고 횡으로 강하게 주먹을 휘두른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공간을 무시하고 날아드는 충격. 벼락처럼 날아드는 검집의 측면에 공권이 직격해 궤도를 바꾼다. 한 방향으로 날아드는 물체일수록 측면에서의 충격은 취약한 법. 그리고 야견은 그 틈을 놓치지 않고 거리를 좁히려 든다.
“내상(內傷)에 주의하길.”
야견은 그렇게 말하며 류현의 몸통에 주먹을 꽂으려든다. 내공을 들여 겉이 아닌 내부를 해집는 내가중수권. 아까의 거리를 무시하는 주먹과 마찬가지로 백보권의 한 갈래였다. 상처를 치료하기 어려워 비무에서는 잘 쓰지는 않지만, 야견은 그런 것을 고려할 생각은 없었다.
야견은 자신이 팽가에게 주먹을 꽂았을 때를 떠올렸다. 그건 인간에게 주먹을 쓰는 감각이 아니었다. 굳이 비교하자면...철산. 순전히 무쇠로만 이뤄진 거대한 산봉우리에 주먹을 댄 느낌이었다. 중원도 방어도 그보다 나으면 나았지 못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대가 안 된다고 하더라도, 멀다 하더라도 그것에 다가가지 않을 수는 없는 법이다.
“맞습니다. 일단은 팔천군의 제자로 참전하는 것이니 성명절기는 익혀놔야해서. 그나저나 소가주님하고는 정치니 판이니 하는 것 보다는 이런 이야기를 하는게 편하구만요.”
그도 그럴것이 무례임을 알아 입에 담지는 않았지만, 중원의 얼굴은 마치 지루한 와중에 시간 때우기를 찾은 아이처럼 흥이 돋지 않았는가. 자, 그럼 어떻게 활로를 찾아볼까. 그렇게 머리를 굴리는 야견의 팔과 눈이 불에 달군것처럼 붉게 달궈지기 시작하고, 검기를 두른 것처럼 굳기 시작한다.
법화심법-불괴지체 법화심법-혈불
팟, 하고 뛰어오르는 야견. 단순한 물리적 방어력이라면 어떻게 돌파할 수단이 있다. 그러나 금강석은 갑옷을 치워도 금강석이다. 자신이 중원의 신체에 해를 입힐 수 있는 방안은 없다고 봐야겠지. 그러나 야견은 그것을 암에도 불구하고 거리를 최대한 좁히는 동시에, 비도를 들고 예측하기 어려운 궤도로 찌르고, 휘두르고, 던진다.
수많은 각도에서 날아드는 비도와 더불어 상대 역시도 방어력을 늘리기 위함인 듯 어떻게든 방어에 신경을 쓰는 것이 느껴진다. 중원은 한쪽 눈으로 지긋이 그 풍경들을 살펴본다. 초절정의 시야가 생긴 이상 같은 수준에 다다른 공격이 아니고서야 야견의 선이 꽤나 선명히 보이는 법이다. 날아드는 비도를 보며 중원은 느긋하게 답한다.
"허허. 그런가?"
하긴. 정치니 하는 대화보다는 대부분의 무인이 혈투에 익숙할 것이다. 어릴적부터 정무 보는 법을 공부해간 자신같은 사람이 아닌 이상에 말이다.
건곤대나이 회천종에 비취신공의 극에 다다르기 직전의 공능이 덧씌워진다. 중원은 한손으로 날아드는 비도들을 모두 담고, 그것을 다시금 야견에게 쏘아내며 얇은 바늘처럼 내공을 다듬어 그 위에 얹은채로 돌려보낸다. 정중한 오답의 언어. 하지만 그걸 받아내는 사람에게는 지독한 대답에 가까우리라.
"그 비도술. 꽤나 익숙하디 않은 모양이구려. 투로가 단순해. 그냥 사방에서 하나하나 쏘아내는 모양새인데 그쯤 되면 절정무인의 눈으로도 볼 수 있겠지 않소."
묘했다. 겁에 질려있는 듯 한데, 그렇다 해서 필요 이상으로 경계하는 것도 아니었고. 제 정인의 어린 모습은 일반적으로 보이는 어린아이들의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아직도 이게 자신의 꿈의 일부라 생각하는 그는 의아할 따름이었다. 제 정인에게서 이런 모습을 본 기억은 없는데, 그렇다면 이 꿈은 무엇인가.
아니. 그게 중요한게 아니었다. 그는 휘청이는 아이의 다리를 내려보았다. 일어서는 것이 불편해보였다. 긴 비단치마 때문일까. 누가 입어도 거치적거릴만한 치마를 입었으니 그럴지도. 혹은, 다른 이유일지도 모른다.
"걱정 말거라. 이렇게 하면 되니."
그는 재하의 다리와 등 아래로 팔을 집어넣어 그대로 안아들려고 하였다. 재하가 저항했다면 그만두었겠지만, 저항하지 않거나, 혹은 못 했다면 그대로 안아든채로 발걸음을 떼었겠지.
"길을 잃었다면 일단 같이 있던 이를 찾아야겠구나. 마지막으로 헤어진 장소부터 가봐야겠어."
기억하고 있니? 라고 제 딴에는 최대한 상냥하게 말하던 그는 재하가 말해준 장소로 걸음을 옮겼을 것이다.
야견은 비도를 들어 자신에게로 되돌아오는 비도를 어떻게든 피하고, 튕겨내려 해보았다. 그러나 경지의 차이는 명백하다. 비도 하나가 푸욱하는 소리를 내며 자신의 어깨죽지에 박히고, 나머지 하나는 허벅지를 관통한다. 마치 바늘처럼 덧씌어진 내공의 고통이 지독하군. 야견은 새삼 소가주와 마주칠 때마다 반쯤 죽어서 돌아왔던 나날을 떠올린다.
“자알 보셨습니다. 그 답답ㅇ...아니아니 사저에게서 막 사서받은 무공이거든요.”
젠장. 무림인이란 놈이 변명이 길다! 이럴 시간이 있거든 조금이라도 더 익혔어야지. 야견은 자신이 입술을 깨물며 스스로를 채찍질 한 뒤. 자신의 어깨에 꽂힌 비도를 공중에 띄우고 주먹으로 쳐서 날리는 방식으로 쏘아낸다. 동시에 허벅지에 꽂힌 비도 역시 뽑아내 그대로 발로 차 버려 앞의 투로와는 다른 방향으로 쏘아낸다. 어떻게든 간격을 좁히고 싶은 것일까.
“게다가 이래뵈도 불가라 날붙이는 문외한이고!”
그러나 야견은 그리 성실한 인간이 못 됐다. 애초부터 비도술에 의지할 생각이 없었던 걸까. 야견은 어떻게든 거리를 좁히는 동시에 나머지 한 손으로 지권인(智拳印)을 맺을 준비를 하며 내공을 모으고 있었다. 비도술로는 어찌해도 닿을 방도가 없다면, 만약에 닿아도 상처가 나지 않는다면, 다른 방향으로 공략하는 수 밖에는 없지 않나. 야견은 건곤대나이로 자신에게 비도가 돌아오는 그 틈을 이용해. 중원의 영혼에 추혼식의 표식을 새길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를 준비하려면 반격이 직격하겠지만 자신에게는 그 수 밖에 없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