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사항 ※최대 12인이 제가 받을 수 있는 한계입니다. ※총 10개의 대사건이 모두 일어나면 완결됩니다. ※이 스레는 슬로우 스레로서, 매우 천천히 진행됩니다. 진행은 일주일에 한 번, 일요일. 보통 오후 2시~4시 사이에 진행되며 길면 2시간 짧으면 1시간 반 진행되니 참고 바랍니다. ※진행 때에는 #을 달고 써주시면 됩니다. 진행레스가 좀 더 눈에 잘 띄기 위해서 색깔을 입히거나, 쉐도우를 넣는다거나 하는 행위도 모두 오케이입니다. 스레주가 지나치지 않을 수 있도록 이쁘게 꾸며주세요! ※유혈 묘사 등이 있사오니 주의 바랍니다. ※이 외에 미처 기억하지 못한 주의사항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스레주도 무협 잘 모릅니다...부담가지지 말고 츄라이츄라이~ ※기본적으로 우리는 참치어장 상황극판의 규칙을 적용하며, 이에 기속됩니다.
냉정하군. 수아는 말 그대로 냉정하게 자신을 이길 방법을 찾아 행하고 있다. 거리를 둔다면 야견이 비도로 일방적으로 공격하는 태세가 될 것이고, 그렇다고 완전히 거리를 둔다면 그것은 무투전이 특기인 야견의 범위다. 그것이 통용되지 않는 적절한 거리를 가늠하고 유지한다. 앞뒤 달려들지 않는 신중한 싸움. 수아가 비약적으로 강해졌다는 증거이기도 했다. 빠르게 회전하는 창대앞에 비도의 투로는 가로막힌다. 그러나 보법을 토대로 뛰어드는 창은 다행히 여럭을 가지고 피할 수 있었다.
“뭐냐 꼬맹이. 달아오른 냄비처럼 보이는데 싸움은 신중하군. 화난거냐? 아니면 다른거냐? 확실히 하지 그러냐?”
상대는 눈앞의 적이 누구인지 인식하는 것이 어려울 정도로 정신을 놓아 버리고, 피부로 느껴질 정도의 따끔한 살기를 사방으로 뿌리고 있지만, 그럼에도 냉정을 유지하고 있다. 대체 어디서 이렇게 정신이 망가진 채로 들어왔담. 야견은 회피와 동시에 공중제비를 돌며 비도를 던진다. 거리를 벌리려는 심산이겠지.
야견은 짤막하게 그리 평한다. 일상적인 상황에서 전투로 돌입하는 집중력 역시 뛰어나다. 정파놈들이 흔히 쓰는 삼재검법이지만 그 기세는 다르다. 아마도 재능을 놓고보면 자신보다 아득히 위일 것이다. 다만 그것이 싸움의 승패를 가늠하는 요소의 전부는 아니다. 싸움이라는 것은, 투쟁이라는 것은 그리 단순한 것이 아니니.
‘공(空)으로 한 발짝’
야견은 속으로 그리 되뇌이며 자신의 머리로 날아드는 검집에 아랑곳 않고 횡으로 강하게 주먹을 휘두른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공간을 무시하고 날아드는 충격. 벼락처럼 날아드는 검집의 측면에 공권이 직격해 궤도를 바꾼다. 한 방향으로 날아드는 물체일수록 측면에서의 충격은 취약한 법. 그리고 야견은 그 틈을 놓치지 않고 거리를 좁히려 든다.
“내상(內傷)에 주의하길.”
야견은 그렇게 말하며 류현의 몸통에 주먹을 꽂으려든다. 내공을 들여 겉이 아닌 내부를 해집는 내가중수권. 아까의 거리를 무시하는 주먹과 마찬가지로 백보권의 한 갈래였다. 상처를 치료하기 어려워 비무에서는 잘 쓰지는 않지만, 야견은 그런 것을 고려할 생각은 없었다.
야견은 자신이 팽가에게 주먹을 꽂았을 때를 떠올렸다. 그건 인간에게 주먹을 쓰는 감각이 아니었다. 굳이 비교하자면...철산. 순전히 무쇠로만 이뤄진 거대한 산봉우리에 주먹을 댄 느낌이었다. 중원도 방어도 그보다 나으면 나았지 못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대가 안 된다고 하더라도, 멀다 하더라도 그것에 다가가지 않을 수는 없는 법이다.
“맞습니다. 일단은 팔천군의 제자로 참전하는 것이니 성명절기는 익혀놔야해서. 그나저나 소가주님하고는 정치니 판이니 하는 것 보다는 이런 이야기를 하는게 편하구만요.”
그도 그럴것이 무례임을 알아 입에 담지는 않았지만, 중원의 얼굴은 마치 지루한 와중에 시간 때우기를 찾은 아이처럼 흥이 돋지 않았는가. 자, 그럼 어떻게 활로를 찾아볼까. 그렇게 머리를 굴리는 야견의 팔과 눈이 불에 달군것처럼 붉게 달궈지기 시작하고, 검기를 두른 것처럼 굳기 시작한다.
법화심법-불괴지체 법화심법-혈불
팟, 하고 뛰어오르는 야견. 단순한 물리적 방어력이라면 어떻게 돌파할 수단이 있다. 그러나 금강석은 갑옷을 치워도 금강석이다. 자신이 중원의 신체에 해를 입힐 수 있는 방안은 없다고 봐야겠지. 그러나 야견은 그것을 암에도 불구하고 거리를 최대한 좁히는 동시에, 비도를 들고 예측하기 어려운 궤도로 찌르고, 휘두르고, 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