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1116131> 테스트 :: 192

익명의 테스터

2018-03-15 21:15:21 - 2018-06-05 01:55:40

0 익명의 테스터 (828271E+63)

2018-03-15 (거의 끝나감) 21:15:21

ㅋㄱㅂㅈㄷ

190 익명의 테스터 (5645911E+5)

2018-06-05 (FIRE!) 01:12:01

어떻게 이야기를 시작해야 할까. 나도 나름대로 어디 가서 말주변이 나쁘다는 평은 안 듣고 살았는데 말이야. 이 이야기를 하기에는 말주변이 좋은 정도로는 조금, 많이 부족한 거 같은걸.

그러니까 간결하게 몇 가지 사실만 순서와 양식을 지켜서 늘어놓아 볼까.

우선, 내게는 누나가 하나 있어. 순하고, 착해빠진 사람이지. 어릴 적에 부모를 잃어버린 우리 남매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건, 거의 100퍼센트 누나의 공이라고 해야 할거야. 누나는 뭐든지 잘 하는 사람이니까, 나를 버렸더라면 분명히 그 상황에서조차 자수성가해서,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었겠지. 하지만 누나는 그렇게 하지 않았고 지금까지 둘이서 살아왔어.

시스콘이냐고? 그래 뭐, 딱히 부정하진 않아. 이상한 의미로는 아니지만, 분명 나는 누나에게 평범한 남매 이상의 호감을 가지고 있을 거야. 제 몸 하나 건사하기도 힘든 이 세상에 나라는 짐덩어리를 매달고서 여기까지 살아온 그녀에 대한 존경, 감사 뭐 이런 것들이 합쳐진 결과라고 할까. 하지만 지금 그건 딱히 중요하지 않아. 자칫하면 영영 누나를 못 보게 될지도 모르는 엿 같은 상황이거든. 지금부터 그 이야기를 해보도록 할게.

그냥 평범한 일상이 이어지던 어느 날, 누나가 사라졌어. 기간은 3일.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3일, 72시간. 정확히는 5월 15일 오후 14시 00분에 홀연듯 사라져버린 누나는 5월 18일 오후 2시에 다시 나타났어. 하지만 그건 내가 알던 누나의 모습은 아니었지.

인간이 아니었다, 라고 하면 이 이야기를 읽는 사람들은 뭘 생각할까? 엘프나 드워프 같은 전통적인 판타지의 친구들? 인간에서 변화했다고 하면, 뭐 흡혈귀나 늑대인간 같은 저주받은 녀석들? 혹은 뭐 현대 판타지로 넘어와서, 어디 이세계에서 깽판을 친 끝에 '신' 같은 초월적인 존재가 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까?

응 뭐, 비슷한 건 있네. 맨 마지막 그거. 아니아니 신 말고. '초월적'이라는 거 말이야. 뒤에 '존재'도 떼고 그냥 초월적인 무언가.

설명이 부족해서 미안해. 하지만 내게 이 이상의 설명을 바라지는 말아 줘. 이쪽도 그냥 너희와 같은, 조금 가정사정이 특이할 뿐인 소년에 불과하거든? 그런 내게 갑자기 '생명이라는 것' 그 자체가 되어 나타난 누나를 설명하라고 해도 말이지.

이야, 민폐도 이만저만이 아니었다고? 누나가 나타난 순간, 지구라는 행성에서 '살아있는 모든 것'이 생명을 잃었으니까 말이야. 사실 민폐라고 말할 만한 수준이 아니지만...

" 어라, 실수. "

라는 말과 함께 곧바로 원상복구 됐으니까, 세이프라는 걸로 해 줘.

저기, 상상이 돼? 3일 내내 잠도 안 자면서 사라진 누나를 찾아다니다 집으로 돌아와서 지쳐 쓰러진 순간에 누나가 나타나고, 동시에 내 영혼이 몸에서 튀어나와서 뒈지려고 하는 내 몸을 보고 이게 시방 뭔 일이여 하고 있다가, 실수라는 말이랑 함께 되살아났다니까? 이걸 뭐, 어떻게 설명해?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야. 오히려 더 점입가경이라고 할까.

" 음, 그러니까, 안녕, 오랜만이야? "

나른하고, 어딘가 정상이 아닌 듯한 음색으로 누나는 이렇게 말했어. 오랜만 이라고 해도 3일 정도일 뿐이지만 뭐, 시간의 흐름이 다른 이세계 정도는 그렇게 드문 것도 아니잖아? 그러니까 이해할 수 있어. 그 3일이, 어딘가에서는 한 우주가 33번쯤 태어나고 소멸할 정도의 시간이었다고 해도 말이야.

" 누나...? 누나 맞지? "

스스로도 좀 병신 같은 목소리였다고 생각해. 그래도 뭐, 이런 상황에 처하면 대부분 병신이 되긴 하겠지만.

" 응, 맞아. 누나야. ...으음, 좀 더 다정했던가? "

뜻모를 말을 덧붙이는 누나를 앞에 두고, 나는 온몸을 떨고 있었어. 병신 같지만, 사실은 내 의지력을 칭찬해 줘야 할 부분이야. 잘난 척이 아니라 정말로. 한참이 지난 뒤에나 이해할 수 있었던 사실이긴 하지만, 특별한 이능도 힘도 없는 일개 인간이 이때의 누나를 눈앞에 두고 존재가 소멸해버리지 않은 것만 해도 대단한 거라니까. 물론 누나 본인이 나를 엄청 배려해주고 있는 상황이긴 했지만. 거의 내 존재 자체가 누나의 힘으로 유지되고 있는 수준으로 말이지.

횡설수설해서 미안해. 나름대로 뭔가 조리 있게 설명하고 싶은데, 이미 말했듯이 나도 저 상황을 완전히 이해한 게 아니라서 어쩔 수가 없네. 아무튼 최대한 회상을 이어가 보도록 할게.

" 그러니까 이름이, 응. 서 연훈 이었던가? "
" ...도서린이거든. 치매 왔어? "
" 아하하, 재미있는 농담이네. 치매라... 의외로 정답일지도. "

어깨를 으쓱하며 웃는 누나. 삐끗 잘못하면 존재가 날아가버릴 것 같은 두려움 속에서도, 나는 누나의 모습을 똑바로 바라볼 수 있었어. 내 이름조차 완전히 엉뚱하게 기억하고 있지만, 그건 분명히 내 누나였어.

" 서린, 응. 그래. 도서린, 내 동생. "
" 뭐가 어떻게 된 거야, 누나. 대체 무슨 일이야 이게. "
" 그러게. 이게 무슨 일일까. 나는 왜, 너를 보고 싶다고 생각했을까. 이름조차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주제에. "

그렇게 말하며 한 걸음 다가서는 누나로부터, 나는 한 걸음 물러섰어. 본능보다도 더 깊숙한 곳에 있는 어떤 것 때문이었겠지. 본능이란 게 '생명체'로서의 행동원리라면, 이건 존재하는 것으로서의 자기방어기제였을 거야.

" 으응, 그러지 말아 줘. 해치지 않을 테니까. "
" 미, 미안. "

약간 상처받은 듯이 그렇게 말하는 누나에게, 나는 죄의식을 느끼며 다시 한 걸음을 다가섰어. 누나의 손이 내 얼굴을 향해 천천히 올라와 뺨을 쓰다듬는 동안에도 전신이 두려움으로 떨려왔지만 내색하지 않는 데까진 성공했어. 뭐, 지금 생각하면 누나에겐 아무 의미 없는 노력이었겠지만.

" 서린, 서린. 내 동생. 서린아. "
" ...... "

내 이름만을 반복해서 부르며 한참을 그렇게 나를 쓰다듬는 누나를 보며, 나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었어. 그토록 기다리고, 좋아하던 누나를 향해 치솟는 혐오감, 동정심, 애증, 사랑, 연민, 공포, 막연함, 그 외에 단어로는 형언할 수 없는 감정들까지 감당하는 데만도 전심전력을 쏟고 있었거든. 마치 온갖 종류의 감정이 들어 있는 뽑기 기계가 계속해서 내용물을 뱉어내는 느낌이었지.

" 나 여기 있어, 누나. "

내가 그 말을 한 건 대체 어떤 의도였을까? 지금까지도 잘은 모르겠어. 방황하다 돌아온 여주인공을 안심시키는 남자 주인공의 대사 비슷한 느낌이었겠지만... 그건 좀, 많이 병신 같았지.

" 후후... 그래. 너는 여기 있구나. 나를 기다리면서. 내가 사라진 지 얼마나 지났니? "
" 3일. 정확히 3일이야. "
" 3일이라... 그렇구나. 겨우 3일이구나. "

누나가 사라진 3일동안 내가 겪은 놀람이나 걱정, 초조함 같은 걸 생각하면 누나의 발언은 조금 배려가 없었을지 몰라. 하지만 그런 것 정도는 정말로 고려 대상에도 들지 않을 정도의 괴로움이 누나에게서는 느껴졌어.

" 저기 서린아. "
" 응, 말해. "
" 나, 이제 다시는 못 볼 거야. "

어째서, 같은 말은 하지 않았어. 그야 오히려 그 말을 듣고 나는 '안심'을 느꼈는걸. 눈앞의 이 초월적인 '것'을, 더 이상 만나고 싶지 않았으니까. 그러나 그 직후에는 또 지독한 자기혐오가 밀려왔지. 뭐가 초월적인 것이야. 이건 누나라고. 도서윤이라는 이름의, 내 누나라고. 뭐 그런 식으로.

그렇게 내가 안심과 자기혐오를 반복하고 있는 동안 누나는 다시 말을 이었어.

" 너를 만나러 온 건, 세는 것이 무의미한 시간 속에서 지쳐버린 나라는 존재의 '원본'이 비명을 지르기 시작해서야. "
" 이해가, 안 돼... "
" 나는 네 누나가 아니야. 네 누나를 원본으로 한 무언가지. 지금 네 눈앞에 있는 건 그 원본에 불과해. "
" 그러면, 그러면 결국 누나인 거잖아. 뭐가 아니라는 거야...! "

오히려 누나로부터 생겨난 '무언가'가 '아닌'것 아니냐고, 그렇게 말했지만 누나는 고개를 저었지. 그리고 사실, 나도 직감적으로 느끼고는 있었어.

" 이제 너랑 헤어지고 나면, 네 누나로서의 나는 완전히 사라져. 내가 그렇게 할 거니까. 내가 '이 존재'로서 있기 위해서는, 나라는 인간의 흔적을 완전히 없애야 하니까. "
" 누나가 뭔데, 대체 뭐가 된다는 건데...! "
" 미안, 설명할 수 없어. 미안해, 서린아. 정말로 미안해. 하지만 난 이럴 수밖에 없어. "

그 말을 하면서 생긋 웃는 누나의 모습은, 정말로 예뻤어. 그야말로 잔인하리만치 아름다운 미소. 그러나 정말로 잔인한 건, 그 뒤에 이어진 말이었지.

" 서린아. 무시해도 상관없고, 오히려 하지 말아줬으면 하는 부탁이 있어. "
" ...부탁이라면서 하지 말라니, 그게 뭐야... "

모순된 말이라며 애써 듣지 않으려 고개를 돌리는 나에게, 누나의 그 저주와도 같은 부탁이 들려왔어.

" 나를, 죽여주렴. "

...긴 이야기를 듣느라 수고했어. 여기까지의 이야기가, 지금 내가 이곳, [ 미궁도시 오라리오 ]라고 불리는 세계에 오기까지의 전말이야.

191 익명의 테스터 (5645911E+5)

2018-06-05 (FIRE!) 01:17:28

1. 기본적으로 [ 상식 외의 상황 ]을, [ 그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일반인 ] 의 시점에서 서술하고자 합니다.
2. 1의 [ 상황 ] 을 독자에게 어느 정도 알려야 합니다.
3. 그러다 보니 화자인 [ 동생 ]은 어느 정도 혼란스러운 반응을 보임과 동시에 [ 상황을 어느 정도 이해한 듯한 반응 ]을 보여야 합니다
4. 이 모순적인 상황 탓에 글의 밸런스를 제대로 잡고 있는지 확신이 없습니다.
5. 혼란스럽고 가독성을 해친다는 점은 어느 정도 의도한 부분이지만, 그 정도가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은지 알고 싶습니다.

192 익명의 테스터 (1494393E+5)

2018-06-05 (FIRE!) 01:55:40

>>190-191의 감평을 부탁 받았습니다. 보고 느낀 걸 적어 보겠습니다.

5번 항목에서 의도하신 바는 이룩한 거 같고 1번과 3번도 제대로 충족하신 거 같지만 제가 느낀 혼란은 주인공의 혼란보다는 글 자체가 산만하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연재하실 플랫폼에 따라 다르겠지만 문장 한 줄 한 줄의 길이가 너무 깁니다. 특히 묘사 부분에서 그런 점이 많이 느껴집니다.
미궁도시 오라리오라고 하면 일본 라이트노벨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의 팬픽 같고 글쓴이께서는 일본 서브컬처를 즐기시는 것 같습니다.
그걸 감안해도 글 자체가 너무 일본적인 표현이나 정서에 맞춰져 있습니다. 가령 문장에 쉼표가 많이 들어가는 것과 '거의 100퍼센트 누나의 공이라고 해야 할거야' 같은 부분입니다.
'거의 100퍼센트 누나의 공이라고 해야 할거야'보다는 '대부분 누나 덕분이라고 해야 할 거야.' 같이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문체로 쓸 수도 있다고 봅니다.

일단 글 자체는 굉장히 혼란스럽습니다. 그렇지만 앞서 말씀 드렸듯 주인공이 혼란스러운 걸 느껴서가 아니라 글 자체가 산만하다고 생각해서입니다.
전문적인 단어와 대명사를 자주 사용함으로써 주인공이 이해하지 못 하는 걸 독자에게 보여주려 한 것 같지만 저로서는 가독성 때문에 혼란스러웠다는 느낌이 심했습니다.

의도하신 1번과 2번은 어느 정도 제대로 이행이 된 거 같으나 3~5번은 의도하신 대로 된 거 같지가 않습니다. 이상 평가였습니다.

Powered by lightuna v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