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6241094> [AA/연재/잡담] 거유신의 Light A Live - 22 :: 1001

거유신◆wwv3bAdL/I

2020-08-18 20:25:33 - 2020-08-26 20:32:39

0 거유신◆wwv3bAdL/I (fbcXoO9sVI)

2020-08-18 (FIRE!) 20:25:33



                /⌒\   /⌒\
                   /__________\/__________\
                  、丶`   `  、
                   丶             丶
                    丶     ┃   ┃  丶
                丶         ▽     丶
                 丶                   丶
             丶                   丶
             丶                     丶
               丶 丶  V\/       V\/丶 丶
             丶                    丶
               丶                     丶
           丶丶  \/V       \/V 丶
              丶                   丶
           ---‐‐ゝ‐‐‐‐‐‐‐‐‐‐‐‐‐‐‐‐‐‐‐‐‐‐‐‐‐ゝ

─────────────────────────────────────────────────
 【마키】 언제나 중2병 속에서 살아가는 어장주의 간간히 연재 자주는 잡담판이야

 ◎ 거유신의 어장 일람 : >>1

169 거유신◆wwv3bAdL/I (UeG3y6Lj9M)

2020-08-22 (파란날) 14:16:25

http://janesoft.net/janestyle/
0. Jane Style은 AA 환경의 스레를 편하게 보기 위해 만들어진 물건너의 전용 브라우저입니다
  사용하려면 시스템 언어를 일본어로 바꾸거나 로컬 에뮬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지 않으면 제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https://postimg.cc/HjTKyQcW
Jane Style의 기동 시, 먼저 해야할 것은
【자신이 보고 싶은 스레가 존재하는 판의 등록입니다.
시타라바 긴급 피난소나 야루폭스, 야루오쉘터 같은 판이 처음부터 등록이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절차를 거쳐야 해당 판의 스레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2. https://postimg.cc/VdVHpp75
일단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면 가장 왼쪽에 존재하는 판 일람 (版一覧) 항목이 있습니다.
이 항목에서 가장 아래쪽에 외부판(外部版)이라는 폴더가 존재하는데
이곳에 자신이 들어가고 싶은 스레가 있는 판을 등록해야 합니다
방법은 간단, 외부판에 오른쪽 클릭해서 나오는 2번째 항목 여기에 판을 추가(B)를 누르면 됩니다

3. https://postimg.cc/pykSYpzf
그걸 누르면 해당 판을 등록하라는 팝업이 뜨는데
위쪽에는 적당한 이름을 쓰고
【아래쪽에 가고 싶은 해당 스레의 메인 주소를 적으면 됩니다】.
그러면 판이 등록되고 폴더 내에 존재하게 된 판을 클릭하는 것으로 해당 판의 스레 일람이 출력됩니다.

스레 일람은 돋보기 옆에 있는 항목으로 스레 이름을 검색할 수 있고
아래에 있는 정렬 버튼을 통해 번호 / 타이틀 / 레스 / 취득 / 신작 / 늘어난 레스 / 기세 / 최종 갱신일으로 정렬이 가능합니다

4. https://postimg.cc/jL5F8t4G
원하는 스레를 들어갔을 경우 스레만을 출력하는 화면으로 변경되며
여기서 레스의 입력, 새로고침, 자동갱신 등의 수많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레스 입력 기능은 이미지에 보이는 빨간 동그라미 안의 버튼을 누르면 이용 가능합니다.

5. https://postimg.cc/D4fM3Tk4
해당 버튼을 누르면 레스를 입력하는 팝업이 뜨며
가장 왼쪽에 자신의 이름이나 레스를 넣을 수 있습니다
따로 지정하지 않아도 sage를 적용할 수 있게 해주며
두번째 항목인 프리뷰(プレビュー)를 누르면 해당 레스가 어떻게 출력되는지 알 수 있으며
유니코드 등이 포함된 AA를 쓸 경우 해당 코드가 있는 문자가 ?으로 표시되거나 합니다

끝.

Powered by lightuna v0.6.5